글쓰기 능력에 대한 자기 진단
평소에 나의 글쓰기 과정을 돌아보며, 다음 질문에 '예'나 '아니요'로 답해보자.
1. 평소에 글을 많이 읽는다.
2. 몇 번이고 반복해서 읽는 책이 있다.
3. 신문이나 잡지를 보다가 잘 쓴 글을 보면 오려두거나 적어둔다.
4. 신문이나 잡지에서 글 잘 쓰는 필자의 이름을 2명 이상 댈 수 있다.
5. 현재 일기를 쓰고 있거나, 한 때 1년 이상 일기를 쓴 적이 있다.
6. 평소 인용구, 재미있는 통계 수치, 에피소드 등을 메모해둔다.
7. 다른 사람이 쓴 글의 내용을 한 문장으로 요약할 수 있다.
8. 핵심 키워드를 한 단어로 말할 수 있다.
9. 글을 쓰기 전에 전체 계획을 세운다.
10. 글을 쓰기 전에 자료를 수집한다.
11. 글을 쓰기 전에 글의 구조를 구상한다.
12. 글을 쓰기 전에 이야기를 풀어낼 순서를 메모한다.
13. 일단 초고를 두려움 없이 쓰는 편이다.
14. 첫머리와 끝머리에서 강렬한 인상을 남길 방법을 생각한다.
15. 글을 쓸 때 핵심 메시지가 분명하다.
16. 글을 비교적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으로 쓰는 편이다.
17. 글을 비교적 솔직하게 쓰는 편이다.
18. 글에서 감동을 주는 방법을 고민한다.
19. 논리적인 글에 감성적 터치를 넣으려고 노력한다.
20. 글에 내 색깔와 개성이 나타난다.
21. 생생한 표현을 찾으려 노력한다.
22. 제목을 뽑는데 신경을 쓴다.
23. 독자를 의식하고 친절하게 쓰려고 한다.
24. 쓰고 나서 첫 머리와 끝머리를 가다듬는다.
25. 글을 쓴 후 두 번 이상 교정을 한다.
*평가*
'예'라는 답변에 1점, '아니요'라는 답변에는 0점을 주고 각 점수를 합산한다.
0-10점 : 글을 잘 쓰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11-20점 : 글쓰기에 관심이 있어 조금만 더 연습하면 잘 쓸 수 있다.
21-25점 : 글 쓰는 일을 직업으로 할 수 있을 정도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